본문 바로가기

AWS/EC2

[AWS] Bastion Instance를 NAT Instance(Gateway)로도 써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단순하게는 Private Subnet에 있는 Instance에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중인 Bastion Instance의 의미와 해당 Bastion Instance를 외부 Gateway 역할을 하는 NAT Instance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려 합니다. 우선 Bastion의 의미부터 살펴보시겠습니다. 많은 분들이(저 또한 마찬가지..) Bastion Server의 역할을 단순히 내부 사설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로 접근하기위한 점프서버용도로만 알고계시는데, 물론 점프서버의 역할도 수행하지만 그 외에도 보안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주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내부 사설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꼭! Bastion Server를 거쳐야.. 더보기
[AWS] EBS Root Volume 재사용 가끔, Golden Image를 확보하지 않은 Instance의 HostOS 장애와 같은 이유로 해당 Instance의 AMI를 이용하여 다시 Launch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Root volume이 아닌 다른 모든 유형의 추가 Volume에 대해서는 AMI를 이용하여 Instance를 Launch하는 과정에서 다른 Snapshot으로 교체할 수 있지만, Root Volume의 경우에는 불가능합니다...(그럼 Root Volume에 변경된 데이터는 어떡해?!!) 사실 이러한 이유로 하나의 정형화된 이미지(Golden Image)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Golden Image가 확보가 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만약 고객사의 Instance라면.. 어떻게든 살려내야죠..(굽신굽신..) .. 더보기